2025 대선 후보 정책 비교
대선 후보들의 정책을 주제별로 간단하고 보기 쉽게 비교해보세요. 유권자가 이념적 선동에 휘둘리지 않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복지 > 국민연금
국민연금 제도 개혁 방안은?
이준석
국민연금 강제가입을 폐지하고, 개인이 가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연금 선택제를 도입하겠습니다. 현재 제도는 강제적이라는 비판이 있으며, 젊은 세대가 노후수령에 대한 불신을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자율성을 부여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경제 > 일자리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은?
김문수
청년 기업가 특별지원금 제도를 도입하고, 청년 창업 기업에 대해 5년간 세금을 면제하는 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또한, AI 기반 맞춤형 일자리 매칭 플랫폼을 구축하여 구직자와 기업 간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겠습니다.
이준석
스타트업 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청년 창업가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초기 투자 펀드를 조성하겠습니다. 미래 산업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한덕수
디지털 전환 일자리를 적극 확대하고, IT 교육 바우처를 전 국민에게 지급하여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합니다. 공공 부문에서 선도적으로 양질의 디지털 일자리를 창출하겠습니다.
이재명
청년고용보장법을 제정하여 청년의 첫 일자리를 국가가 책임지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공공과 민간 협력을 통해 연간 10만개 이상의 청년 일자리를 확보하겠습니다.
복지 > 노동
주 52시간 근무제 개편 방향은?
김문수
현행 주 52시간제의 기본 틀은 유지하되, 노사 합의를 통해 특정 기간 집중 근무를 허용하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겠습니다. 다만, 노동자의 건강권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를 강화할 것입니다.
이준석
업종별 특성을 고려하여 주 52시간제를 차등 적용하고, 특히 R&D 및 스타트업 분야에서는 근로시간 규제를 대폭 완화하여 혁신을 지원해야 합니다.
한덕수
근로시간 선택권을 확대하여 근로자가 자율적으로 근무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연장근로시간 총량 관리 단위를 현행 '주' 단위에서 '월' 또는 '분기' 단위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습니다.